01. 다음 중 저량(stock)의 경제변수는 모두 몇 개인가?
24A04②
○ 주택재고 ○ 건물 임대료 수입 ○ 가계의 자산 ○ 근로자의 임금 ○ 도시인구 규모 ○ 신규 주택공급량
① 2개 ② 3개 ③ 4개
④ 5개 ⑤ 6개
02. 다음 중 유량(Flow)의 경제변수는 모두 몇 개인가?
31A09③
○ 가계 자산 ○ 노동자 소득 ○ 가계 소비 ○ 통화량 ○ 자본총량 ○ 신규주택 공급량
① 1개 ② 2개 ③ 3개
④ 4개 ⑤ 5개
03. A부동산의 가격이 5% 상승할 때, B부동산의 수요는 10% 증가하고 C부동산의 수요는 5% 감소한다. A와 B, A와 C간의 관계는?(단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4A08①
|
A와 B의 관계 |
|
A와 C의 관계 |
① |
대체재 |
|
보완재 |
② |
대체재 |
|
열등재 |
③ |
보완재 |
|
대체재 |
④ |
열등재 |
|
정상재 |
⑤ |
정상재 |
|
열등재 |
04.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(단,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공급곡선은 우상향하며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30A07⑤
①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은 감소한다.
② 수요량은 일정기간에 실제로 구매한 수량이다.
③ 공급량은 주어진 가격수준에서 실제로 매도한 수량이다.
④ 건설종사자들의 임금상승은 부동산가격을 하락시킨다.
⑤ 가격 이외의 다른 요인이 수요량을 변화시키면 수요곡선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.
05. 부동산수요 증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?(단,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함)
26A04④
ㄱ. 수요자의 실질소득 증가
ㄴ. 거래세 인상
ㄷ. 대출금리 하락
ㄹ.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
ㅁ. 인구 감소
① ㄱ, ㄷ ② ㄷ, ㄹ ③ ㄱ, ㄴ, ㄹ
④ ㄱ, ㄷ, ㄹ ⑤ ㄴ, ㄷ, ㄹ, ㅁ
06. 부동산시장에서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?(단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31A19③
ㄱ. 시장금리 하락
ㄴ. 인구 감소
ㄷ. 수요자의 실질소득 증가
ㄹ. 부동산 가격상승 기대
ㅁ. 부동산 거래세율 인상
① ㄱ, ㄴ ② ㄱ, ㄷ ③ ㄴ, ㅁ
④ ㄴ, ㄷ, ㄹ ⑤ ㄱ, ㄷ, ㄹ, ㅁ
07. 아파트시장의 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요인은 모두 몇 개인가?(단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5A06②
○ 수요자의 실질소득 증가
○ 건축원자재 가격의 하락
○ 사회적 인구감소
○ 아파트 가격의 하락
○ 아파트 선호도 감소
○ 대체주택 가격의 하락
○ 아파트 담보대출금리의 하락
① 2개 ② 3개 ③ 4개
④ 5개 ⑤ 6개
08. 아파트매매시장에서 수요량과 수요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(단 x축은 수량, y축은 가격이고 아파트와 단독주택은 정상재이며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9A11③
① 아파트가격 하락이 예상되면 수요량의 변화로 동일한 수요곡선상에서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.
② 실질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곡선은 좌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.
③ 대체재인 단독주택의 가격이 상승하면 아파트의 수요곡선은 우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.
④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가 하락하면 수요량의 변화로 동일한 수요곡선상에서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.
⑤ 아파트거래세가 인상되면 수요곡선은 우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.
09. 부동산 수요 및 공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(단,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함)
26A05③
①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관계가 대체재라고 가정할 때 아파트의 가격이 상승하면, 단독주택의 수요가 증가하고 단독주택의 가격은 상승한다.
② 건축기자재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주택가격이 변하지 않는다면 주택공급은 감소할 것이다.
③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주거용지의 공급이 감소한다.
④ 완전경쟁시장에서 부동산공급량은 한계비용곡선이 가격곡선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.
⑤ 부동산의 물리적인 공급은 단기적으로 비탄력적이라 할 수 있다.
10. 주택 공급 변화요인과 공급량 변화요인이 옳게 묶인 것은?
28A21①
|
|
공급변화요인 |
|
공급량의 변화요인 |
① |
|
주택건설업체수의 증가 |
|
주택가격 상승 |
② |
|
정부의 정책 |
|
건설기술개발에 따른 원가절감 |
③ |
|
건축비의 추락 |
|
주택건설용 토지가격의 하락 |
④ |
|
노동자임금의 하락 |
|
담보대출이자율의 상승 |
⑤ |
|
주택경기 전망 |
|
토지이용규제 완화 |
11. 부동산시장에서 주택의 공급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?(단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4A09③
① 주택건설업체 수의 증가
② 주택건설용 원자재 가격의 하락
③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의 상승
④ 새로운 건설기술의 개발에 따른 원가절감
⑤ 주택건설용 토지가격의 하락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-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기출문제 (Part.1) (1) | 2021.04.29 |
---|---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 - 수요의 탄력성 & 공급의 탄력성 이론 (0) | 2021.04.29 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 - 수요량과 공급량의 변화, 수요와 공급의 변화 이론 (0) | 2021.04.29 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학 총론- 주택법상 주택 이론 및 기출 (0) | 2021.04.29 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학 총론- 부동산활동에 따른 토지의 분류 이론 및 기출 (0) | 2021.04.29 |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