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2.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(단,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을 의미하며,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함)
27A05③
① 미세한 가격변화에 수요량이 무한히 크게 변화하는 경우 완전탄력적이다.
② 대체재의 존재 여부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.
③ 일반적으로 부동산 수요에 대한 관찰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아진다.
④ 일반적으로 재화의 용도가 다양할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커진다.
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라는 것은 가격의 변화율에 비해 수요량의 변화율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.
13.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(단,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을 의미하며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8A19③
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을 경우 전체 수입은 임대료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한다.
② 대체재가 있는 경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대체재가 없는 경우보다 비탄력적이 된다.
③ 우하향하는 선분으로 주어진 수요곡선의 경우, 수요곡선상의 측정지점에 따라 가격탄력성은 다르다.
④ 일반적으로 부동산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단기에서 장기로 갈수록 더 비탄력적이 된다.
⑤ 부동산의 용도전환이 용이할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아진다.
14. 부동산매매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(단, x축은 수량, y축은 가격,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을 의미하며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9A08①
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탄력적이면 가격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수요량이 고정된다.
②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‘0’이면 완전비탄력적이다.
③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면 가격의 변화율보다 수요량의 변화율이 더 작다.
④ 수요곡선이 수직선이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완전비탄력적이다.
⑤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이면 가격의 변화율보다 공급량의 변화율이 더 크다.
15. 부동산의 공급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(단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4A05④
① 한 국가 전체의 토지공급량이 불변이라면 토지공급의 가격탄력성은 ‘0’이다.
② 주택의 단기 공급곡선은 가용생산요소의 제약으로 장기공급곡선에 비해 더 비탄력적이다.
③ 부동산 수요가 증가하면, 부동산공급곡선이 비탄력적일수록 시장균형가격이 더 크게 상승한다.
④ 토지는 용도의 다양성으로 인해 우하향하는 공급곡선을 가진다.
⑤ 개발행위허가 기준의 강화와 같은 토지이용규제가 엄격해지면 토지의 공급곡선은 이전보다 더 비탄력적이 된다.
16. 어느 지역의 오피스텔 가격이 4% 인상되었다. 오피스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2.0이라면, 오피스텔 수요량의 변화는?(단, 오피스텔은 정상재이고,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며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5A09④
① 4% 증가 ② 4% 감소 ③ 8% 증가
④ 8% 감소 ⑤ 변화 없음
17. A부동산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이 각각 0.9와 0.5이다. A부동산 가격이 2% 상승하고 소득이 4% 증가할 경우, A부동산 수요량의 전체변화율(%)은?(단, A부동산은 정상재이고, 가격탄력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며, 다른 조건은 동일함)
24A07①
① 0.2 ② 1.4 ③ 1.8
④ 2.5 ⑤ 3.8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 - 균형의 결정과 변동 이론 (0) | 2021.04.29 |
---|---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-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기출문제 (Part.2) (0) | 2021.04.29 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 - 수요의 탄력성 & 공급의 탄력성 이론 (0) | 2021.04.29 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 - 수요량과 공급량의 변화, 수요와 공급의 변화 기출문제 (0) | 2021.04.29 |
<부동산학개론> 부동산 경제론 - 수요량과 공급량의 변화, 수요와 공급의 변화 이론 (0) | 2021.04.29 |
댓글 영역